“치매 예방을 위한 열쇠가 있다. 생활 습관을 잘 유지하여 뇌의 노화를 늦추는 방법이다. 매일매일 하라고 한다. 뇌 건강을 지키고 싶다면, 우선 '잠'을 잘 자라고 한다.
알츠하이머 치매 주요 유발 원인인 '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'은 낮 동안 뇌 조직에 쌓이다가, 자는 동안 몸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.
수면의 질이 좋을수록 더 잘 배출된다.
실제 한 연구에서 정상적인 인지 기능의 노인 70명을 대상으로, 수면 습관을 조사하였다.
뇌 속에 얼마나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여 있는지 양전자 방출단층촬영(PET)으로 관찰 조사하였다.
그 결과, 평소 6시간 이하로 잠을 잔 사람은 7시간 이상 충분히 잔 사람보다 뇌에 독성 베타아밀로이드가 더 많이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다.
이 조사는 매우 사실적이어서 보기만 해도 큰 의미가 있다.
미국 메이요 클리닉 수면 연구가 디에고 카르발류 교수의
연구에 따르면 수면과 치매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양방향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. 이어 "어릴 때 수면이 부족하면 중추 신경이 빠르게 퇴화해 치매 위험이 커질 수 있고, 향후 치매에 걸렸을 때도 수면이 부족해질 수 있는 것"이라고 주장한다.
카르발류 교수는 지난 10일 인지 기능이 정상인 노인 2,750명을 대상으로 단 2주만 수면이 부족해도 뇌 나이가 4년 더 노화되는 것과 같은 정도의 인지 저하가 나타난다고 한다. 만성 불면증(주 3일 이상 잠을 못 자는 상태가 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)을 앓은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를 앓을 위험이 40% 높다고 한다.
특히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 APOE ε4 유전자가 있는 사람은 수면 부족이 기억력과 사고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한다. 반면 평소보다 더 잤다고 보고한 참가자는 이전보다 뇌 보호 작용이 더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나. 
치매 예방은 평소 수면 습관이 대단히 중요하다. 
     
은빛방송단 김종일